文 대통령, 노무현정부 실패 교훈 삼아 ‘외교부-통일부 협업’ 강조

입력 2017-08-24 02:08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 2017 외교부·통일부 핵심정책 토의가 열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회의실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외교·통일분야 핵심정책 토의에서 외교부와 통일부 간 협업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무현정부 시절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재직하면서 두 부서가 껄끄러운 관계를 가졌던 것을 반면교사 삼은 것이다.

문 대통령 주재로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외교·통일 분야 핵심정책 토의에는 강경화 외교부장관과 조명균 통일부장관 등 양 부처 당국자 등이 참석해 업무보고를 했다. 이 자리에선 북핵 문제가 주로 논의됐는데,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노무현정부 당시 비서실장으로 있으면서 외교부와 통일부의 관계가 매끄럽지 못했던 기억이 있다며 두 부서의 협력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이날 토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열어 “대통령은 비핵화 노력과 남북관계 개선 노력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선순환 구도 속에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이를 위해 외교부와 통일부 간 협업체제를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한 정부 관계자는 “협업은 필요한 경우 두 부처 사이에 협의체 등을 만드는 방법이 될 수 있다”며 “다만 현재 두 부처의 교류가 없는 게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좀 더 강화해가는 것을 포함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당초 90분으로 예정된 토의는 150분가량으로 연장됐다. 토의 대부분은 북핵 문제가 차지했다.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따른 한반도 긴장 상황에서 북핵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한반도에 평화를 안착시키기 위한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외교부와 통일부는 이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도발을 억제하고,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한 관계 회복과 북한의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정책기조를 재확인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국민 여론을 외교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국민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협상과 관련해 민감한 정보가 공개되는데 따른 부담, 국민의 단기적 요구에 응하다 장기적 국익이 손상될 수 있는 점 등을 두루 감안하는 ‘균형감’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