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계엄군의 헬기 사격과 공군 전투기 출격 대기명령에 대한 특별조사를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통해 이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자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고, 국방부는 진상 규명에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3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공군 전투기 부대에 광주 출격대기 명령이 있었다는 언론 보도, 광주 시내 전일빌딩을 향한 헬기 기총사격 2건에 대한 특별조사를 국방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979년 12월 12일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뒤 이듬해 5월 전국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같은 달 17일 계엄령을 선포했고, 그 이튿날 광주와 전남으로 계엄군을 투입해 항거하는 시민에게 발포했다.
신군부의 계엄군 헬기가 광주 시민을 향해 무차별 사격을 가했다는 증언과 정황도 나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은 지난 4월 광주 금남로의 전일빌딩 10층에서 43개의 탄흔을 발견했다. 헬기 사격 가능성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 정황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18일 광주 국립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새 정부는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더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헬기 사격까지 포함해 발포의 진상과 책임을 반드시 밝히겠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같은 날 협조 의사를 밝혔다. 브리핑을 통해 “객관적 진실 규명의 필요성을 인식한다”며 “국회 입법을 통한 진상조사를 추진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이행하겠다. 구체적인 조치 방법은 정부의 방향과 지침에 따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국방부 수장은 박근혜정부에서 임명됐던 한민구 전 장관이었다. 지금은 송영무 장관이 국방부를 지휘하고 있다.
신군부 계엄군이 광주로 전투기까지 투입할 계획이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종합편성채널 JTBC는 지난 21일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공군에 출격 대기명령이 내려졌고, 전투기는 공대지 폭탄을 장착한 채 출격을 준비했다”고 보도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