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댓글부대' 수사팀, 朴정부 시절의 2배 규모… 본격 수사 착수

입력 2017-08-22 15:34
박근혜정부 시절 '국정원 대선 개입' 수사를 맡았던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 뉴시스

검찰이 ‘국정원 댓글부대’ 수사를 위해 대규모 수사팀을 꾸렸다. 서울중앙지검 인력에 추가로 파견을 받아 검사 10여명으로 수사팀을 꾸렸다. ‘특별수사팀’ 형태는 아니지만, 검찰청의 2개 부서에 맞먹는 진용을 갖추고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장지검은 22일 국가정보원이 2012년 대선 당시의 ‘사이버 외곽팀(댓글부대)’ 팀장급 30명을 수사의뢰한 사건을 공공형사부에 배당했다고 밝혔다. 수사팀은 공공형사부와 공안2부 검사에 일선 검찰청에서 파견된 검사 등 1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는 박근혜정부 시절 검찰이 댓글부대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꾸렸던 ‘특별수사팀’보다 2배 가까이 큰 규모다. 당시에는 윤석열 여주지청장(현 서울중앙지검장)을 팀장으로 공안부 검사 3명, 첨단범죄수사부 검사 1명, 특수부 검사 1명 등 검사 6명이 참여했다.

윤석열 당시 수사팀장은 현재 서울중장지검장이 돼 있다. 자신이 진행하다 수뇌부와 마찰을 빚어 제대로 완결하지 못했던 사건을 다시 지휘하게 됐다. 이 같은 수사팀 구성에는 검찰 수뇌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21일 사이버 외곽팀 민간인 팀장 30명에 대해 서울중앙지검에 공식적으로 수사를 의뢰했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는 국정원 심리전단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 재직 시절인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여론 조작을 목적으로 사이버 외곽팀 30개 팀을 운영한 사실을 파악했다. 주부, 학생, 예비역 군인 및 전직 국정원 직원으로 구성된 댓글부대 3500명의 관리자 역할을 맡은 팀장 30명의 신원도 확인했다.

서울중앙지검에 구성된 수사팀은 민간인 팀장 30명을 차례로 소환해 구체적인 역할과 행위 등을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과 연결된 국정원 직원에 대한 수사도 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