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두 번째 전쟁은 없다"고 다시 한번 못박았다. 북한 핵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한·미간의 입장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17일 취임 10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반도에서 두번 다시 전쟁은 없을 것이라 자신있게 말씀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한반도 6·25전쟁으로 인한 폐허에서 온 국민이 합심해서 이만큼 나라를 다시 일으켜세웠다. 두번 다시 전쟁으로 그 모든 것을 다시 잃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전쟁은 기필코 막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북한의 도발에 대해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 가하더라도 결국은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은 국제적인 합의다.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 입장도 다르지 않다"며 "지난번 유엔 안보리에서 유례없는 강력한 북한 경제제재를 결의했다. 중국과 러시아도 제재에 동참하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전쟁을 막기 위한 것이다. 강도높은 제재로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나오도록 강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에서 대한민국의 동의 없는 군사 행동은 있을 수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북한에 어떤 옵션을 사용하든 모든 옵션에 대해 한국과 사전에 동의를 받겠다고 약속했다. 한·미간에 굳은 합의"라며 "전쟁은 없다는 것을 국민들께서 안심하고 믿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핵 문제를 다룰 '레드라인'에 대해서는 "북한이 ICBM 탄도미사일을 완성하고 거기에 핵탄두를 탑재해서 무기화하게 되는 것을 레드라인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이 점점 레드라인 임계치에 다가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만약 북한이 또다시 도발 한다면 북한은 더더욱 강도 높은 제재 조치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결국 견뎌내지 못할 것이다. 북한에 대해서도 더이상 위험한 도박을 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북한에 특사를 보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지난 10년간의 단절을 극복하고 다시 대화를 여는 데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대화 자체를 목적으로 둘 수는 없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적어도 북한이 추가 도발을 멈춰야만 대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갖춰진 대화 여건 속에서 남북 관계를 개선하는 데 북핵 문제 해결하는 데 도움 된다고 생각된다면 특사 보내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CNN 기자가 '강경한 발언을 이어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한국과 같다고 보느냐'고 묻자 문 대통령은 "미국과 한국 입장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북한에 대한 강도높은 제재로 추가 도발을 멈추게 하고 북한을 핵포기 위한 협상 장으로 이끌어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한국과 미국 입장이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은 단호한 결의를 보임으로써 북한을 압박하고자하는 것"이라며 "그것이 반드시 군사적 행동을 실행할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그 점에 대해서는 한·미간에 충분한 소통이 되고 있고 합의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은 내외신 기자 포함 300여명이 반원형으로 착석한 가운데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문 대통령 취임 후 공식 기자회견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