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에게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 머리숙여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가족 200여명을 만나 “그 원인이 무엇이든 정부는 참사를 막아내지 못했고, 선체 침몰을 눈앞에서 뻔히 지켜보면서도 선체 안의 승객을 단 한명도 구조하지 못했을 정도로 대응에 있어서도 무능하고 무책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발언 내내 침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목소리는 떨렸고, 눈시울도 붉어졌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를 늘 기억하고 있었다”며 “미수습자들 수습이 끝나면 세월호 가족들을 청와대로 모시려고 했는데 (수습에) 생각보다 시간이 걸려 수색작업 중에 모시게 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유가족들을 따뜻하게 보듬어주지도 못했고 오히려 국민들을 편 가르면서 유가족들에게 더 큰 상처를 안겨줬다”며 “정부는 당연한 책무인 진실 규명마저 회피하고 가로막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며 거듭 사과했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인양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린 이유가 뭔지 국민들은 지금도 잘 알지 못한다”며 “세월호 진실을 규명하는 것은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아픔을 씻어주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다시는 그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교훈을 얻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세월호 피해자 가족을 모두 초청해 직접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한달 뒤인 2014년 5월 청와대에서 세월호 유가족 대표 17명과의 직접 면담 등을 통해 정부의 부실대응에 대해 사과했지만 유가족들은 “진정성이 없다”고 반발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세월호 진상조사를 위한 특별법 제정 요구에 대해 “특별법에 공감한다”면서도 구체적 내용에 대해 확실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