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오는 18일부터 8월 임시국회를 열기로 잠정 합의한 가운데 양대 보수정당은 일제히 ‘안보정당’ 프레임을 내세우며 국면전환을 노리고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10일 정부의 안보불감증 탓에 주변 강대국들이 ‘코리아 패싱'을 넘어 '문재인 패싱'을 하고 있다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16일 자유한국당 의원총회에서는 전술핵 재배치가 당론으로 채택됐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전술핵 재배치 또는 배치를 당론으로 정해 정부와 협의해나가고 전략적 측면에서 국제사회에도 언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 64% 이상이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며 “국민들도 그만큼 뭔가 움직여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원내대표는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면서도 “적어도 코리아패싱이 나오는 현 시점에서 전술핵 배치를 언급함으로써 미국의 다른 사인을 받을 수도 있고 이에 버금가는 전략을 국제공조로 만들 수도 있어 전략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바른정당도 안보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는 10일 “정부의 대화·제재 입장 혼선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14일에는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신(新)보수 안보·대북정책 연속토론회-핵공유가 신안보다'를 개최하기도 했다.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위원은 이날 “자체 핵무장은 악수고 핵배치는 하수, 핵공유가 고수”라며 “굳이 핵배치를 안 해도 핵무기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16일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은 ‘문재인정부 100일에 대한 소회’를 주제로 보도자료를 냈다. 유 의원은 이날 문재인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한마디로 무능”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안보 무능은 안보에 대한 확고한 철학과 전략의 부재 때문”이라며 “이제는 대통령으로서 안보위기를 해결하는 자도자의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6월말 한미정상회담은 동맹의 굳건한 앞날을 약속하기에 부족한 미봉책이었고 동문서답이었다”며 “사드 배치와 군 복무기간 단축, 이 두 가지도 문재인 정부가 안보에서 얼마나 무능하고 불안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는 17일을 전후로 각종 정책토론회를 열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일 예정이다. 한국당 정책위원회와 여의도연구원은 16~18일 ‘문재인 정부 100일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바른정당도 16~18일 문재인 정부 취임 100일을 비판하기 위해 정책평가 토론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