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영 교수 연구팀이 2014년 12월부터 2015년 6월까지 2번 이상 낙상을 경험한 파킨슨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낙상의 유형과 부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70.5세, 파킨슨병이 발병한 지는 평균 11.3년이 지난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성이 32명, 여성은 30명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낙상 방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눴다. 낙상환자 중 45명은 앞으로, 나머지 17명은 뒤로 넘어지거나 옆으로 넘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두 그룹은 낙상이 발생한 상황부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앞으로 넘어진 환자들의 경우 주로 돌아서거나 걷는 도중 낙상이 발생했지만, 다른 방향으로 넘어진 환자는 앉거나 서는 상황, 돌아설 때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듯 넘어지는 방향이 다른 데는 동결보행과 자세 불안정이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했다.
동결보행이란 걷던 중 갑자기 멈춰서는 등 마치 얼어붙은 사람처럼 몸이 말을 듣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움직이려 해도 발이 꼼짝도 하지 않는 환자들은 관성을 이기지 못하고 그대로 앞으로 넘어진 것이다.
연구팀은 이들의 나이와 성별, 파킨슨병 투병 기간 등 인구학적, 임상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비교했을 때 앞으로 넘어지는 환자는 동결보행이, 옆 또는 뒤로 넘어지는 환자는 자세가 불안정한 것과 관련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고했다.
두 그룹간 동결보행이 어느 정도인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점수를 매긴 결과도 앞으로 넘어진 환자의 동결보행 점수가 평균 12.2점이나 기록한 반면 다른 방향으로 넘어진 환자들의 점수는 8.7점에 그쳤다.
다른 방향으로 넘어진 환자들의 경우 자세불안정이나 운동불능, 근육경직, 심리적 요인 등으로 균형을 잡지 못하는 것이 주요 낙상 원인으로 분석됐다.
그림 참조). 노인이 대부분인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이 클 뿐 아니라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예컨대 앞으로 넘어진 환자는 절반 이상(53.3%)이 중등도 이상의 부상을 입은 반면 다른 방향으로 넘어진 환자의 3분의 2(64.7%) 가까이는 병원치료가 필요 없을 정도로 경미했다.
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매일 넘어지는 환자의 비율 역시 앞으로 넘어진 환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더 많은 낙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조 교수는 “낙상은 파킨슨병 환자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원인인 만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자들이 낙상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지 않도록 환자는 물론 보호자, 의료진 모두 환자가 넘어진 방향 등을 평소 세심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잡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레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