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 법흥동 법흥교 옆에 있는 임청각(臨淸閣)은 조선 중기인 1519년 건립됐다. 보물 182호로 지정돼 있다. 영남산 기슭 경사면을 이용해 계단식으로 기단을 쌓고 99칸을 배치한 살림집이었다. 대청의 현판은 퇴계 선생 친필로 알려졌다.
500년 역사의 임청각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대한민국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1858∼1932) 선생의 생가이자 석주 선생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 고성 이씨 가문의 종택이어서다. 석주 선생은 경술국치 이듬해인 1911년 1월 식솔을 이끌고 임청각을 떠나 만주 망명길에 올랐고 여생을 독립운동에 바쳤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전답은 물론이고 임청각까지 처분해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무장 독립운동의 토대를 만들었다.
일제는 독립운동의 성지나 다름없는 임청각의 정기를 끊으려고 마당 한가운데로 중앙선 철길을 내고 행랑채와 부속건물 등 50여칸을 뜯어냈다. 집은 반토막이 났고 철도로 막혀 입구를 찾기 어려운 지경이 됐다. 임청각과 중앙선은 약 7m 떨어져 있다. 국토교통부는 현재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의 일환으로 임청각 주변 철도가 이설되면 임청각과 철로의 거리는 약 6㎞로 벌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의원 시절이던 지난해 임청각을 찾아 복원 약속을 했고, 이낙연 국무총리도 지난 10일 휴가길에 임청각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은 15일 제72회 광복절 경축사에서 독립유공자와 후손을 예우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보훈 현실을 임청각에 비유했다.
문 대통령은 “안동에 임청각이라는 유서 깊은 집이 있다. 일제강점기 때 모든 가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해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 독립운동의 토대를 만든 석주 이상룡 선생의 본가”라며 “무려 아홉 분의 독립투사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산실이고, 대한민국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일제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그 집을 관통하도록 철도를 놓았다. 아흔아홉 칸 대저택이던 임청각은 지금도 반 토막이 난 그 모습 그대로다. 이 선생의 손자 손녀는 광복을 찾은 뒤 대한민국에서 고아원 생활을 하기도 했다. 임청각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되돌아 봐야 할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임청각을 건립한 이명은 중종 때 정6품인 형조좌랑을 지낸 문신이다. 그 후손인 이상룡 선생에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이듬해 그의 고택 임청각도 보물로 지정됐지만 일제에 의해 파손된 원래의 모습은 회복할 수 없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광복절 경축사에서 친일 잔재를 완전하게 청산하지 못하고 독립유공자 후손이 가난에 시달리도록 방치한 우리나라 보훈 현실을 임청각에 빗대 설명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역사를 잃으면 뿌리를 잃는 것이다. 독립운동가를 더 이상 잊혀진 영웅으로 남겨두지 않아야 한다. 명예뿐인 보훈에 머물지도 않아야 한다”며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사라져야 한다. 친일 부역자와 독립운동가의 처지가 독립 이후에도 달라지지 않는 경험이 불의와의 타협을 정당화하는 왜곡된 가치관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유공자를 예우하는 보훈 기틀을 다시 세우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독립운동가들을 모시는 국가의 자세를 완전히 새롭게 하겠다. 최고의 존경과 예의로 보답하겠습다. 독립운동가의 3대까지 예우하고 자녀와 손자‧녀 전원의 생활안정을 지원해 ‘국가에 헌신하면 3대까지 대접받는다’는 인식을 심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하고 임청각처럼 독립운동을 기억할 수 있는 유적지를 끝까지 발굴해 보전할 계획을 약속했다. 또 한국전쟁 참전용사에 대한 명예수당 인상, 순직 군인‧경찰‧소방관 유가족에 대한 지원 확대 계획도 빼놓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유공자 어르신 마지막 한 분까지 대한민국의 품이 따뜻하고 영광스러웠다고 느끼게 하겠다”며 “보훈으로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분명히 확립하겠다. 애국의 출발점이 보훈이 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