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15일 2019년이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이 1948년에 건국된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48년 건국론'을 거듭 강조했다.
류석춘 자유한국당 혁신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혁신위원회 브리핑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에 건국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류 위원장은 "국가라는 게 성립하려면 정치학 교과서에 나오듯 국민, 영토, 주권이 있어야 한다. 그 기준에서 1948년 건국은 자명한 일"이라며 "1919년 상해임시정부는 앞으로 건국될, 1948년 건국을 이룰 정신적 출발점이었다. 헌법 전문에서 나오는 법통을 이어받았다는 것은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문 대통령도 취임식 할 때 대한민국 '19대' 대통령이라고 하지 않았나"라며 "19대 대통령을 역사적으로 올라가면 1대,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이라는 것이다. 본인도 19대 대통령을 쓰는 이상, 건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을 인정하면서 1919년 건국이라 얘기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으로 치면 대한민국은 1919년 임신되고 1948년 태어난 것이다. 건국과 건국 의지를 밝힌 것은 다르다. 그럼 독립운동한 것이 해석이 안 되지 않느냐"며 "특정 조건을 갖춰야 나라가 서는 것인데 견강부회해서 1919년을 건국으로 삼는 건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최해범 혁신위원도 SNS을 통해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을 기점으로 대한민국이 건국됐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일은 우파의 사관도 좌파의 사관도 아니다. 그것은 그저 산을 산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자명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최 위원은 "헌법 전문에 적힌 3·1운동으로 대한민국이 수립됐다는 표현은 말 그대로 선언적 규정일 뿐"이라며 "상해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의 씨앗이다. 아이가 잉태된 날을 생일로 기념하는 사람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 당시 한반도는 주권을 빼앗긴 식민지였는데 국가는 도대체 어디에 있다는 말이냐"고 지적했다.
한편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 100주년, 정부수립 70주년이라 얘기했다"며 "임시정부란 건 앞의 우리나라고, 우리나라가 대한민국 아니냐.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정부수립 70주년이니까 두 가지가 다 의미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원내대표는 "헌법에도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는다는 개념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어색하게 들리지 않는다"며 "임시정부에 대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임시정부 기념관으로 표현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대해선 다른 의견은 없다"고 밝혔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