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살충제 계란’ 논란을 부른 맹독성 ‘피프로닐' 성분이 국산 계란에서도 이 검출되자 “살충제 계란을 낳은 닭은 괜찮겠냐”며 계육 안전성까지 의심받고 있다.
살충제 검출로 국내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계란 판매가 중지된 15일 네티즌들은 믿고 먹을 식품이 없다면서 일반 닭고기에 대한 살충제 성분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당초 식약청은 “우리나라에는 살충제 달걀이 수입된 적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이번 살충제 성분 검출로 해당 농가에서 유통된 계란에 대해 잠정 유통·판매를 중단하면서 의심은 커지고 있다.
양계업자 관계자가 뉴시스에 밝힌 실태에 따르면 해외에서 유입된 검정 딱정벌레를 퇴치하기 위해 살충제를 뿌려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농가에선 병아리들이 집단 폐사한 적도 있다고 한다. 검정 딱정벌레는 계사를 갉아먹고 육계의 생산성을 떨어뜨려 양계농가의 골칫거리가 돼 왔다.
맹독성인 ‘피르로닐’은 사람의 신장이나 간, 갑상선에 치명적인 물질로 식용 동물에 사용이 금지돼 있다. 닭에게 사용하면 피부나 깃털에 흡수됐다가 계란에 남게 된다. 이번 유럽 살충제 계란으로 네덜란드에선 닭 수백만마리가 살처분 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전문가들은 “알을 낳는 산란계와 달린 식용으로 쓰이는 육계는 30일 정도 속성으로 키워 출하하기 때문에 기준치 이상으로 뿌리지는 못한다”며 육계 유통과정에서 철저한 도계 검사를 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