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대한민국 건국은 임시정부 수립일” 李·朴과 확연히 다른 역사의식

입력 2017-08-15 11:42


문재인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 시기를 상해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으로 못 박았다. 보수진영의 ‘1948년 건국’ 주장에 공식적으로 반대 의견을 피력한 셈이다. 광복절 경축사에서 1948년을 건국 시점으로 언급했던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문 대통령은 15일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국민주권은 임시정부 수립을 통한 대한민국 건국의 이념이 됐고, 우리는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며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세우려는 선대들의 염원은 백년의 시간을 이어왔다”고 말했다. 또 “2년 후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이고, 내년 8·15는 정부 수립 70주년”이라고도 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건국 시점은 상해 임시정부 수립일로 하고, 보수 진영에서 건국절이라고 주장하는 1948년 8월 15일은 정부 수립일으로 정정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건국절 논란을 의식한 듯 진보와 보수의 통합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보수나 진보 또는 정파의 시각을 넘어 새로운 100년 준비에 다함께 동참해 주실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전임 보수 정권 때의 입장과는 다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2월 취임사에서 “올해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을 맞이한다”고 밝혀 ‘건국절’ 논란을 촉발시켰다. 뉴라이트 계열 보수 역사학계의 주장을 수용하면서 야당과 진보진영에서는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건국 6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구성됐고, 이 전 대통령은 그해 8월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건국 60주년 주장을 되풀이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1948년을 건국시점으로 언급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