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자진사퇴 결정에 대해 본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11일 “박 본부장의 자진사퇴에 대해 본인의 의사를 존중하기로 했다"며 "더 낮은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과학기술계 연구개발(R&D) 분야 컨트롤타워로 박 본부장을 지난 7일 임명했지만 ‘황우석 논문 조작사건’의 중심 인물이라는 비판 여론을 이기지 못하고 임명 나흘만에 자진사퇴 쪽으로 결론 내렸다.
박 본부장 자진 사퇴에 대해 야당은 일제히 당연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밝힌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침묵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국민이 오만과 독선을 이겼다”며 “나머지 잘못된 인사도 바로잡아야 한다. 공영방송사 저격수 역할을 자임한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도 즉각 사퇴시켜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유정 국민의당 대변인은 “박기영 본부장 자진사퇴는 국민 상식에 부합하는 일”이라며 “늦게나마 이를 수용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문재인 정권은 우리편이라면 부적격 인사라도 앞뒤 가리지 않고 임명하는 우를 다시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며 "더 이상 국민을 실망시키는 인사는 없기를 기대하고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사퇴는) 당연한 결정”이라며 “청와대는 연이은 인사 참사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사태가 더 걷잡을 수 없이 커지기 전에 스스로 현명한 결단을 내려서 다행”이라며 “아주 기본적인 검증 과정을 지나쳤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이다. 구멍난 인사검증시스템을 전면보완하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박 전 본부장이 전날 자진 사퇴를 거부했을 때와 같이 명확한 입장을 드러내지 않았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