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도 하는 대표적인 척추질환을 말한다. 허리디스크를 일으키는 요인은 과거에는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나 외상이 주된 원인이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장시간의 운전, 다리를 한쪽으로 꼬고 앉는 습관, 과체중,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사무를 보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허리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허리디스크 환자에게 있어서 운동은 중요한 치료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운동만으로 모든 디스크를 치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절한 비수술적 치료와 운동 처방을 병행할 경우 허리 디스크의 환자의 약 70~80% 정도까지 치료가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치료 받을 수 있는 허리 디스크도 자가 진단 하에 시간을 너무 끄는 바람에 치료시기를 놓쳐 안타깝게도 비수술적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바로 수술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허리디스크에 대한 치료와 운동 전에 병원에서 자신의 허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허리디스크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에는 물리 치료, 그라스톤 치료, 냉각 치료, 체외 충격파, 도수 치료, 신경 차단술,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풍선 감압 신경성형술, 고주파 수핵 성형술, 꼬리뼈 미니레이져 수핵 성형술 등이 있다.
안산척추병원 안산에이스병원 박철웅 원장은 “허리디스크 탈출증 자체가 유전이 되지는 않지만 디스크의 성질, 모양, 크기, 양 등은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며 “타고난 디스크에 따라 다른 사람에 비해 탈출증이 조금 쉽게 나타날 수 있다든지 또는 타고난 척추관이 좁아서 작은 크기의 디스크 탈출증에도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허리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의자에 앉을 때 다리를 꼬거나 허리를 구부정하게 앉지 않고, 걸을 때는 척추를 꼿꼿하게 유지해주며 오래 앉아 있었을 경우 50분에 한번씩 5분정도 일어나 허리 스트레칭을 가볍게 해주는 것이 좋다”며 “디스크에 영양공급을 위해서는 하루 30분 이상 걸어주는 것이 좋으며 생활 관리를 통해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온라인뉴스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