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 ‘댓글 부대’ 운영과 관련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정 전 의원은 11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어떻게 보고를 안 했겠느냐”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국정원 ‘댓글 부대’ 운영 의혹과 관련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뿐만 아니라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조사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정 전 의원의 발언은 의미심장하다.
앞서 정 전 의원은 tbs ‘김종배의 색다른 시선’에 출연해 “MB의 운명은 결국 원세훈 전 국정원장에게 달려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해당 발언에 대해 “(댓글부대 운영이) 원 전 원장 선에서 끝났는지 아니면 정권 차원에서 한 건지 앞으로 수사를 진행할 텐데 원 전 원장 입장에서 앞으로 살아야 되기 때문에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그가 어떤 태도를 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전 의원은 이 전 대통령의 신중한 성격상 댓글 사건에서의 그의 책임이 쉽게 밝혀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이 자국을 남기는 사람이 아니다”라며 “뭔가 좀 부담스러운 일이 있을 때는 본인이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해 밑으로 책임을 전가시키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정 전 의원은 ‘댓글 공작’ 자체에 대해서도 “창피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정원장이 정치공작을 하려면 수준 있는 공작을 해야하는데 기껏해야 사람들 모아 놓고 댓글이나 달고 앉아있었다”며 “다른 나라 국정원 기관에서 보면 한심한 기관이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인터뷰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광우병 촛불 시위의 배후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세력이 있다고 보고 표적 수사를 진행했다는 얘기도 나왔다.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 대한 수사가 정치적 목적을 담은 노 전 대통령 겨냥 수사라는 얘기였다.
정 전 의원은 “누구라고 딱 집어서 얘기할 수는 없지만 당시 한 고위 권력기관장이 청장 교체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박연차를 수사하면 노 전 대통령을 잡을 수 있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또 “그 인물이 한상률 당시 국세청장으로 추정된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