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소재 지방자치단체장들이 9일 정부의 탈핵 정책을 비판하는 공동 성명서를 발표 했다.
신장열 울주군수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28일 대구에서 열린 '원전 소재 지자체 행정협의회'에서 채택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원전이 있는 기장군, 경주시, 울진군, 영광군 자치단체장이 함께 서명했다.
협의회는 “지난 6월 19일 정부의 탈핵을 목표로 하는 신규원전 건설계획 전면 백지화 발표는 지난 40여 년간 원전과 함께 한 원전주변 주민들과 지방 정부의 의견을 전혀 수렴하지 않은 일방적이면서도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또 “영구건설 중단 여부 결정을 위해 비전문가로 구성된 공론화위원회는 결국 합법적으로 진행된 모든 절차를 뒤집기 위한 하나의 요식행위일뿐”이라고 주장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과 관련해서는 “현재 공정률이 30%에 육박하고, 이미 1조6000억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을 비전문가들을 통해 추진 가부를 결정한다는 것 자체가 국민적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며 “탈 원전 정책은 반드시 원전소재 지역여건과 주민의견을 반영해야 하며, 지역사회와 주민의 재산권, 생존권 등 피해보상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신고리 5·6호기와 신한울 3·4호기의 중단 없는 건설, 탈원전 정책에 원전 소재 주민의견 반영, 주민 재산권과 생존권 피해보상 등을 요구했다.
신 군수는 “원전 건설이 중단되면 유치 당시 약속한 인센티브 지원도 중단돼 지역의 다른 사업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며 “정부 정책에 신뢰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