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이 아름다워 외국에서는 정원에 많이 식재되고 있는 희귀식물 ‘톱지네고사리’(학명: Dryopteris atrata)의 대규모 자생지(사진)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의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9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톱지네고사리는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서 자라며 국내에서는 전남, 제주에서 드물게 자생한다고 기록돼 있으나 지금까지 실체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던 희귀식물이다.
특히 톱지네고사리는 사철 내내 푸르고 잎에 윤이 나는 빛깔을 띄며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고 외양이 아름다워 지피식물로 활용도가 높아 외국서는 정원 관상식물로 인기가 높다.
지피식물(地被植物)이란 지표를 낮게 덮는 식물로 조릿대류, 잔디류, 클로버 따위의 초본이나 이끼류 등이 있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야생 상태의 대규모 군락이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번에 확인된 톱지네고사리 자생지는 전남 영광 인근에서 발견됐으며 길이 100m 폭 20~30m의 면적 안에 단일종으로 구성된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톱지네고사리의 대규모 군락 자생지를 발견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로 외관이 아름답고 관상식물로 활용 가치가 높아 남획에 의한 훼손이 우려된다”며 “이번 자생지 발견을 계기로 톱지네고사리를 비롯한 양치식물의 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