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공관병 갑질 사건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박찬주 제2작전사령관(육군 대장)부부 의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해진 이후 처음 입장을 밝힌 문 대통령은 강경한 어조로 군과 모든 부처의 갑질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7일 휴가 복귀 이후 처음 주재한 청와대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에서 “군 최고통수권자로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이번 기회에 군내 갑질 문화를 뿌리 뽑아야 한다. 일부 문제 인사를 징계하는 수준의 미봉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군 문화 개선과 관련자 엄단을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가 시행하는 전수조사는 문제해결을 위한 시작일 뿐”이라며 “정확한 실태 조사와 분명한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모든 부처에 대한 갑질문화 점검도 지시했다. 그는 “우선 해외 공관을 포함해서 공관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부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면서 “경찰 고위간부들이 의경을 운전기사로 부리는 등의 갑질 의혹에 대해서도 점검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라며 경찰을 겨냥하기도 했다.
공관병 갑질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박찬주 사령관 부인이 이날 오전 군 검찰에 출석하면서 던진 말이 또다시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박 사령관 부인은 오전 10쯤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하며 ‘갑질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냥 아들 같이 생각하고 했지만 그들에게 상처가 됐다면 그 형제나 부모님께 죄송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공관병들을 아들같이 대했다는 박 사령관 부인의 발언에 실소를 보냈다. “아들에게 전자팔찌를 채우고 노예처럼 부리는 어머니가 세상 어디 있냐”며 “궤변에 불과하다”는 댓글이 이어졌다. 또래 군인인 박 사령관 부부의 아들을 공관병처럼 대했다면 가정폭력으로 처벌받았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박 사령관 부인은 공관병들이 제기한 구체적인 갑질 혐의도 부인했다. 그는 ‘썩은 토마토나 전을 던져 맞은 공관병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냐’는 질문에 “그런적 없다”라고 답했다. ‘스스로를 여단장급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절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