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정호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구승엽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시험관 아기 시술 후 임신 여부를 확인하는 첫 혈액검사에서 여성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임신 18주까지 임신유지가 가능한지 여부를 예측하는 새 진단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임신 후 원인불명의 유산을 2회 이상 경험한 산모 148명을 대상으로 체외수정 후 혈중 프로게스테론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계속 25 ng/㎖ 이상 유지되는 산모의 경우 임신 유지율이 98%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25 ng/㎖이하 수준으로 떨어진 산모들의 임신 유지율은 41.8% 수준에 그쳤다.
이는 건강한 임신 및 출산을 위해서는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25ng/㎖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만약 이 수치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유산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김용진 교수는 “프로게스테론은 산모의 자궁과 유방, 뇌에 영향을 미치고 태아 성장에 영향을 주어 임신 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지금까지 정확히 수치화된 기준이 없어 조기 유산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했었다”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 25ng/㎖를 조기 유산의 명확한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게 돼 조기 유산 치료와 후속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 7월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