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주 제2작전사령관(육군 대장)의 부인 전모씨가 ‘공관병 갑질’ 의혹 수사의 참고인 신분으로 군 검찰에 출두한다. 박 사령관 부부는 모두 공관병에게 부당한 지시를 내린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이다.
군 검찰 관계자는 6일 “전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기 위해 7일 오전 서울 이태원 국방부 검찰단으로 소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사령관의 경우 국방부 중간 감사결과가 나왔던 지난 4일 형사입건됐다. 피의자 신분인 박 사령관은 오는 8일 군 검찰 소환조사가 예정돼 있다.
국방부는 박 사령관 부부의 ‘공관병 갑질’ 의혹에 대한 중간 감사결과를 발표하면서 “그동안 제기된 의혹에서 일부 진술인의 엇갈리는 주장이 있지만 상당 부분은 사실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의혹에서 손목시계 형태의 호출 벨(전자팔찌) 착용, 칼로 도마를 내리친 행위, 뜨거운 떡국의 떡을 손으로 떼어내도록 한 행위, 골프공 수거 지시 등은 양측의 진술이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군복무 중인 박 사령관 아들의 휴가 때 사령관 개인소유 차량을 운전부사관에게 운전하도록 지시했다는 진술, 공관병들에게 텃밭 농사를 시킨 진술 역시 양측 모두 같았다.
전씨가 공관병 부모를 모욕하거나 전을 집어던진 행위, 아들의 빨래를 시킨 행위에 대한 진술은 엇갈렸지만 국방부는 공관병 다수의 진술이 일치해 사실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공관병의 자살 시도, 일반전초(GOP) 철책근무 체험, 박 사령관이 전씨를 ‘여단장급’으로 지칭한 부분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군 검찰은 군 수뇌부 인사가 임박한 점을 감안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 사령관은 다음 주 초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군 수뇌부 인사에서 보직을 얻지 못하고 전역할 가능성이 높게 관측되고 있다. 박 사령관처럼 4성 장군은 군 법규상 보직을 얻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전역한다.
박 사령관이 전역해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되면 수사권은 민간 검찰에 넘어간다. 박 사령관은 지난 1일 전역지원서를 제출했지만 군은 수사를 위해 이를 수리하지 않았다. 군 검찰은 대구 소재 제2작전사령부로 수사 인력을 파견해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육군은 90개소 100여명의 공관병에 대한 전수조사를 오는 11일까지 실시할 계획이다. 조사는 당초 이날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세밀한 진행을 위해 기간이 늘었다. 군은 육군 외에도 공군‧해군 공관병, 국방마트(PX) 관리병, 휴양소 관리병 등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