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정재승 KAIST 교수 등이 출연한 tvN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의 방송심의를 신청했다. 출연자들이 원전과 관련해 허위발언을 했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한국당은 6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알쓸신잡’의 6월 30일 방송분의 방송심의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방송의 출연진은 원자력발전과 관련해 사실과 다르거나 논란이 있는 내용을 100% 확정된 사실이거나 정설로 느낄 만한 발언을 했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유시민 전 장관, 정재승 교수가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수천명이며 피해자는 수십만명이 넘는다고 발언했다”며 “체르노빌포럼의 2005년 보고서는 체르노빌 원전 폭발로 인한 직접적 사망자 수는 50여명이며 4000명이 피폭에 따른 암으로 사망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또 “해당 사고와 암 발병이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는 등 정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았다”고도 했다.
원전의 경제성에 대한 출연자들의 발언도 문제 삼았다. 한국당은 “유시민 전 장관이 원자력발전 단가가 다른 발전 방식에 비해 경제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면서 “2016년 한국전력통계(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발전원 별 구입단가는 KWh당, 원자력 68원, 석탄 74원, LNG 121원”이라고 반박했다. 발전단가에 대해서는 “제2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당시 민관그룹의 공론화를 통한 의견수렴을 거쳐 원전발전 단가에는 원전해체비용, 사용후핵연료 처분비용 및 중·저준위폐기물 관리비용 등 사후처리비용까지 반영돼 있다”며 “오히려 석탄, LNG, 신재생 에너지 발전단가에는 외부비용이 반영돼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 탈원전 논란이 불거지고 국가의 에너지 정책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이런 시점에 부정확한 내용의 방송은 국민 여론 형성과 국가의 정책 방향 설정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 “언론 본래의 역할에서 벗어나 사실을 왜곡하고 국민을 호도하는 보도에 단호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