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구, 국정원 개혁발전위원장 "국정원 댓글부대 조사 후 바로 발표"

입력 2017-08-05 15:47
정해구 국가정보원 개혁발전위원장은 4일 국정원의 댓글부대 운영에 대한 청와대 지시 여부와 관련,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을 맡았을 당시, 국정원 심리전단이 민간인 약 3500명으로 구성된 '사이버 외곽팀'을 운영했다는 의혹에 대해 “그건 더 조사를 해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개혁발전위 산하 적폐청산TF에서는 지난 3일 이명박(MB)정부 국정원이 2009년 5월부터 18대 대선이 있던 2012년 12월까지 사이버 외곽팀을 운영, 반(反)정부 여론을 제압했다는 자료 등을 냈었다.

아울러 정 위원장은 사이버 외곽팀에게 국정원이 매달 3억원 안팎, 한해 30억원을 지급했으며, 팀장급에게는 매달 300만~700만원 정도의 활동비를 지급했다는 보도 또한 확인되지 않은 사안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3년 반 동안 운영됐기 때문에, 팀에 따라 예산이 달라졌을 것 같다"며 "전체적으로 다 조사를 해 어느 정도 돈을 쓰는지 확인을 해야 하는데 그것이 아직 조사가 덜 끝난 상태"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국정원의 여론조작이 뒤늦게 밝혀진 것과 관련, "사이버 외곽팀은 국정원 자체가 운영을 했는데 청와대의 지시가 있었는지는 더 조사를 해야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또 사이버 외곽팀 운영과 관련 "“민간인 팀장 밑에서 민간인들이 댓글작업을 했고 거기에 따라서 성과급 비슷하게 돈을 준 것 같다”며 댓글작업을 한 사람들은 국정원에서 시킨 것인지를 잘 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더불어 “예비역 군인, 회사원, 주부, 학생들이 개인 시간을 내서 댓글작업을 하고 투자한 시간과 댓글을 단 숫자만큼 돈을 받았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한 "댓글을 많이 작업한 사람이 있고 적게 작업한 사람이 있는데 거기에 따라 성과급 비슷하게 돈을 준 것 같다"고도 설명했다.

5일 일부 보도에 따르면 성과급은 1인당 적게는 5만원에서 100만원까지 지급됐고 특수활동비를 통해 지급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정 위원장은 아울러 적폐청산TF에서 다룰 적폐청산 리스트에 '국정원 댓글사건'을 포함해 13건이 있는 만큼 속도를 내 올해 연말까지 조사를 끝내려 한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조사가 된 사건에 대해서는 바로 바로 발표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nowt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