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병에 대한 갑질 논란을 빚어온 박찬주 대장이 형사입건됐다. 육군은 100여 명의 공관병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는 등 후속 조치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송영무 국방부장관이 장병인권 개선 등을 천명한 국방개혁에 더 힘이 실릴 전망이다.
국방부는 4일 중간 조사결과 브리핑을 통해 박 대장에 대해 "민간단체가 군 검찰에 제출한 고발장과 감사조사 결과를 토대로 형사입건해 검찰 수사로 전환키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현재까지 병사 6명과 운전부사관, 참모차장 재직시 부관 등 10여명을 대상으로 사실 여부를 조사한 결과 언론에 보도된 내용 중 일부는 사령관 부부와 관련 진술인의 주장이 엇갈리는 부분이 있으나, 상당 부분 사실로 밝혀졌다"고 밝혔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조사결과가 대장 부부와 진술인 간 엇갈리는 부분이 있다면서도 "손목시계 타입의 호출벨 착용하기, 칼은 휘두르지 않았으나 도마를 세게 내려친 사실과 자녀 휴가 시 대장 개인 소유 차량을 운전부사관이 운전해 태워준 행위 등은 사실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변인은 요리 시 부모를 언급하며 질책한 행위, 전 집어던지기, 대장 아들의 옷 빨래 등은 대장 부인의 진술과 관련 병사들의 진술이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진술이 나와 사실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 외 '공관병 자살시도'와 사령관이 부인을 '여단장급'이라고 호칭하면서 예의를 갖추라고 호통쳤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모든 면담자가 관련 내용을 들은 적이 없다거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도 힘을 보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공개적으로 공관병 전수조사와 일벌백계를 요구했다.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공관병 논란과 관련해 군인권센터에서 발표한 부분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국방부는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경수 민주당 의원도 "지휘관이 병사를 하인 부리듯 한 것이 추가적으로 없었는지 전수조사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군 지휘부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대장이 검찰수사를 받게 됨에 따라 군 내부 개혁에 대한 목소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국방부는 "모든 진술을 토대로 2작전사령관을 형사입건해 검찰수사로 전환하기로 했으며 사령관 부인에 대해서는 군검찰이 참고인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은지 기자 nowtoon@kmib.co.kr
군 검찰 "'공관병 갑질' 박찬주 대장 형사입건"
입력 2017-08-05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