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해범 자유한국당 혁신위원은 3일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 조치 가능성에 대해 "내부에서 굉장한 반발이 있거나 그런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 위원은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혁신위 내부에서 제 의견을 충분히 피력했고, 홍준표 대표 앞에서도 이런 의지를 분명히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향후 혁신안에 박 전 대통령 출당 조치가 담길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 의지는 의심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까지 말하긴 어렵지만 굉장히 반발이 있거나 그런 분위기는 없었다"고 거듭 밝혔다. 또 전날 발표된 혁신선언문에 대해 "보는 시각에 따라 통렬한 반성과 비판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반성과 그 책임에 대해서는 이후 내놓을 혁신안의 결과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한국당 혁신위원회는 2일 당의 혁신 방향을 ‘신(新)보수주의’로 제시한 혁신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이념과 가치 중심의 당 혁신으로 정권을 재창출하겠다는 의지가 담겼지만, 국정농단 사건의 책임소재나 친박(친박근혜)계 인적청산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 선언문 발표 직후 혁신위원 한 명이 사퇴하며 불협화음도 노출했다.
류석춘 한국당 혁신위원장은 선언문을 발표하며 “(보수가 집권했던) 지난 10년간 한나라당, 새누리당을 이은 한국당은 집권여당으로서 국리민복과 국가발전을 위해 당이 추구할 가치와 역할을 망각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총선과 탄핵, 대선 패배에 대한 성찰을 담은 것이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책임을 직접 거론하는 대신 “계파정치라는 구태를 극복 못하고 눈앞의 이익만 좇다가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잃었다”고만 했다.
이어 “한국당은 신보수주의 이념에 기초한 혁신을 통해 가치 중심의 정당으로 환골탈태해야 한다”며 “철저한 혁신으로 정권을 재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신보수주의와 관련해 1948년 건국에 대한 긍정적인 역사관과 대의제 민주주의를 강조했다. 내부 쟁점이었던 ‘서민 중심 경제’란 표현도 선언문에 들어갔다.
그러나 선언문 발표 이후에도 잡음은 계속됐다. 유동열 혁신위원은 선언문 발표 직후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서민 중심 경제를 지향한다는 것은 헌법적 가치 중 하나인 시장경제에 반하는 것이라 용납할 수 없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선언문에 촛불집회를 폄하하는 듯한 표현도 논란이 됐다. 선언문에는 대의제 민주주의와 관련해 “광장민주주의 같은 직접민주주의의 위험을 막고 다수의 폭정에 따른 개인 자유의 침해를 방지한다”고 돼 있다.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는 “보수 몰락의 원인인 탄핵 사태를 만든 주범들에 대한 인적청산 없는 혁신은 말장난일 뿐”이라며 “혁신이 빠진 혁신선언문이자 자기변명문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