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결과 미취학아동의 놀이터손상사고는 미끄럼틀 관련 손상이 40.5%로 가장 많았으며 그네를 타다가 다치는 경우가 18.0%로 그 다인 것으로 밝혀졌다.
손상의 기전은 놀이기구에서 떨어져서 다치는 것이 48.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특히 외상에 의한 두부 손상은 2세 이하 영유아, 그네와 관련한 손상에서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외상성 두부 손상은 2세 이하 영유아, 그네를 타고 놀다가 다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상지 골절은 3~7세 어린이와 기어오르는 놀이기구를 타다가 다치는 경우가 많았다. 또 하지 골절은 평행봉, 단단한 로프 또는 트램폴린에서 놀다가 다치는 경우에 많이 생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 교수는 “현재 다양한 놀이터 안전기준이 마련이 되고 있는 시점이다. 전체 손상 중 추락이48.5%를 차지하고 골절에 의한 입원률이 90.9%로 굉장히 높았으며 연령에 따라 손상의 특징이 달랐는데 이런 특징들을 반영하여 연령대에 따라 흔히 사용하는 놀이기구마다 안전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코리안 메디칼 사이언스(JKM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