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방공기업은 총 부채가 4년 연속 감소했고 부채비율도 11년 만에 5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도는 2005년 이후 처음으로 평점 80점대를 기록했다.
대구도시공사, 부산환경공단, 금천구시설관리공단 등 18곳은 지난해 운영을 가장 효율적으로 한 지방공기업으로 평가됐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343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도 실적에 대해 실시한 경영평가 결과를 1일 발표했다.
평가대상은 공사 56개, 공단 83개, 상수도 115개, 하수도 89개 등으로 7개 유형별로 리더십·전략, 경영시스템, 경영성과, 정책준수 등 4개 분야에 대해 35개 내외 세부지표로 평가했다.
결산대상 413개 지방공기업(평가대상 343개에 신설공기업 및 공영개발 포함)의 부채 규모는 총 68조1000억원으로 전년도(72조2000억원)에 비해 4조1000억원 줄었다. 이에 따라 부채비율도 전년에 비해 7.3% 포인트 떨어진 57.9%로, 11년 만에 50%를 밑돌았다.
당기순손실은 2585억원으로 전년 대비 6500억원 줄었다. 고객만족도는 80.8점으로 전년도(77.7점) 보다 3.1점 올랐다.
공사∙공단은 지난해 5093억원 흑자로 전년도(375억원) 이후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도시개발공사 흑자 규모는 1조3095억원으로 전년(7587억원)에 비해 5508억 원 늘었다. 지방 하수도는 지난해 1조2352억원 적자를 봤지만 전년도(1조 3275억원 적자)에 비해 적자 규모가 923억원 줄었다.
고객만족도는 조사를 시작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80점대(80.8점)를 달성했다.
도시철도공사, 시설관리공단, 광역상수도 등의 평점 평균이 전년 대비 상승한 반면 광역특정공사·공단 등은 전년 대비 하락했다.
도시철도공사는 전년도 메르스 사태로 감소한 승객수송이 정상으로 회복되면서 영업수지비율, 1인당 영업수익 등이 상승했다. 시설관리공단은 전반적으로 사업수입이 증대됐고 이로 인한 사업수지비율 증가, 안전사고 감소 등 경영성과가 개선됐다.
광역상수도는 영업수지비율, 요금현실화율 등 경영성과와 고객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광역특정공사·공단은 세월호 사고 여파, 경주 지진, 사드배치 등 국내외 여건변화로 관광사업이 전반적으로 악화돼 영업수지비율, 당기순이익 등이 감소했다.
도시철도공사 5개 가운데 종합 1위는 광주도시철도공사가 차지했다. 낮은 요금현실화율, 무임승차 등으로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안전사고 발생건수 감소, 영업수지비율 개선, 1인당 영업수익 증가 등으로 전년도 2위에서 올라섰다.
도시개발공사(15개) 중에는 대구·전북·경기도시공사 등 3개 기관이 1~3위를 차지하며 ‘가’ 등급을 받았다.
특정공사공단(26개)은 광역기관 중에는 ‘가’ 등급 없이 제주개발공사가 최상위 기관으로, 기초기관에서는 용인도시공사가 ‘가’ 등급을 받았다.
시설관리공단(88개)은 광역에서는 부산시설공단이 사업수입 증가(11.25%), 사업수지비율 개선, 안전사고 감소(13.33%) 등에 힘입어 전년도 3위에서 1위로 상승했다. 자치구(37개)에서는 금천, 양천, 성동, 광진, 강남, 관악구시설공단이, 시군(46개)에서는 의왕, 시흥, 성남, 청주시시설공단이 90점 이상으로 ‘가’ 등급으로 평가됐다.
환경시설공단(5개) 중에는 부산환경공단이 전년도 5위에서 1위로 상승했다.
광역상수도(8개)는 부산시와 대구시 상수도가 ‘가’ 등급기관으로, 광역하수도(7개)는 ‘가’ 등급 기관이 없이 대구하수도가 1위를 차지했다.
경영평가 전 기관 대상으로 조사한 고객만족도는 평점 80.8점으로 전년도(77.7점) 보다 3.1점 상승했다.
행안부가 지방공기업평가원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조사하고 평가에 반영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80점대를 달성했다.
고객만족도 최상위기관은 서울관악구시설관리공단(90.46점)이었고 유형별 1위는 부산교통공사, 제주관광공사, 전남개발공사, 경남 거창군 상·하수도사업소, 대구환경공단이 차지했다.
이번 평가결과에 따라, 지방공사·공단 임직원의 평가급이 차등 지급된다. 최하위등급을 받은 지방공사·공단 임직원은 평가급을 지급받지 못하며 기관장과 임원은 연봉이 5~10% 삭감 된다.
행안부는 또 하위평가를 받은 기관 중 경영진단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사업규모 축소, 조직개편, 법인청산 등 경영개선명령을 시달할 계획이다.
김현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체계 개편을 통해 주민 경영평가단 구성, 주민참여 예산제도 도입 등 주민참여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지난해 지방공기업 총 부채 4년 연속 감소, 부채비율도 11년 만에 50% 밑돌아
입력 2017-08-01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