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31일 ‘국민의당 제보조작’ 수사 결과를 통해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리면서 안 전 대표의 거취 문제가 국민의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8·27 전당대회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이번 검찰 수사 결과로 안 전 대표의 ‘등판론’에 힘이 실릴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정계은퇴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어 당내 갈등이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울남부지검 공안부(부장검사 강정석)는 이날 김성호 전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과 김인원 전 공명선거추진단 부단장을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는 선에서 수사를 마무리했다. 검찰은 안 전 대표의 개입 여부를 조사했지만 제보 검증에 개입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대국민사과를 통해 “원점에서 제 정치인생을 돌아보며 자숙과 성찰의 시간을 갖겠다”고 했던 안 전 대표는 검찰 수사결과로 정치적 책임을 덜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현재 당내에선 안 전 대표의 전대 출마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국민의당 원외 지역위원장 250명 중 109명은 최근 안 전 대표의 당대표 출마를 요구하는 서명에 동참했다. 이들 중 일부는 지난 29일 안 전 대표와 직접 만나 의견을 전달했고, 안 전 대표도 이들의 요구에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내에선 안 전 대표의 출마가 부적절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국민의당이 창당한 이래 최대 위기를 맞이한 상황에서 당이 근본적 쇄신을 하려면 ‘창업주 안철수’의 그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이찬열 의원은 최근 국민의당 공식회의 석상에서 안 전 대표의 정계은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국회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전대 출마 여부에 대해 “오늘은 검찰 조사에 대한 입장을 말씀드리는 자리다.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안 전 대표는 또 검찰 수사와 관련해 별도 입장도 발표하지 않았다. 그는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의 성명서에 제 뜻도 함께 담겨 있다”고만 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연석회의에서 “당의 진상조사 결과로 밝힌 사실관계와 검찰 조사는 한 치의 차이도 없다”면서도 “당원에 의해 저질러진 범죄만큼은 우리 당도, 국민도 속았다.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죄송하고, 피해자에게도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