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3선·서울 강서을)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문재인정부의 대응책을 "낙제점"이라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31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문재인정부가 과연 북한 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국민 불안을 확실히 잠재우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낙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북한이 ICBM까지 개발하면서 우리를 궁지로 몰아넣고 미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면서 '통미봉남' 전략을 가시화하고 있는데 정작 우리는 사드 루머에 휘둘려 귀중한 3개월을 허송세월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지난 28일 경북 성주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에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하기로 공식 결정한 것도 비판했다. 김 의원은 "북한이 도발하기 하루 전날 정부가 사드 배치 일반 환경영향평가 방침을 발표했다"며 "이런 우스꽝스러운 행태가 우리 정부의 안이한 인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맞서 사드 발사대 4기를 임시 배치하라고 지시한 것에 대해 "지금은 엄중한 시기"라며 "북한의 무모한 도발에는 강한 안보, 공고한 한미동맹, 강력한 대중제재가 해답"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부분은 전임 정권과 굳이 차별화를 둘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통령은 북한이 ICBM급 탄도미사일 '화성 14형'을 발사한지 1시간19분만인 29일 새벽 1시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했다. 문 대통령은 "말에 그치지 않고 북한 정권도 실감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실질적인 조치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배치, 한·미 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및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추진, 대북 독자 제재 등 전방위 강경책을 수립했다.
문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