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지난 6월 27일부터 7월 7일까지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어린이 보호구역 48곳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점검을 실시한 결과 315건의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해 어린이 교통사고가 2건 이상 발생하였거나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곳들로 행안부, 교육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실시했다.
점검 결과 총 315건의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어린이보호구역은 노면표시 퇴색, 안전표지 미설치 등 안전시설이 미흡(239건, 76%)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안전표시 미설치 38건, 노면표시 미설치 20건, 과속방지턱 비설치 53건, 횡단보도 미설치 32건, 신호등 미설치 12건, 보행동선 미확보 16건 등이다.
합동점검에서 지적된 노면표시, 안전표지 및 횡단보도·과속방지턱 설치 등 단기간에 개선이 가능한 257건(82%)은 정비 계획을 수립하여 연말까지 개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교차로 구조 개선 등 예산이 많이 필요하고 정비 기간이 오래 걸리는 58건(18%)에 대해서는 내년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우선 반영해 정비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교육부·경찰청·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고 보호구역 내 과속, 불법 주정차 등 교통 법규 위반 차량에 대해 집중 단속할 방침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