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지도체제 개편안 놓고 비대위-혁신위 진통

입력 2017-07-26 10:46
국민의당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혁신위원회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민의당이 지도체제 개편 방향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당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단일지도체제 혁신안을 두고 지도부의 이견이 여전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혁신위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난 17일 혁신위는 단일지도체제 전환·최고위원제 폐지 등 고강도 혁신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도부 대행인 비상대책위원회 내부에서 반발하는 의견이 나오면서 실제 통과까지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 20일 논의된 의총에서도 2시간 이상 토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는 데는 실패했다. 이날 의총에서 지도부를 포함한 현역 의원들은 혁신위가 제시한 '최고위 폐지'에 강하게 반발했다. 대신 최고위원을 대표와 분리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라는 절충안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협의는 그 이후로도 계속됐지만 입장차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대위원들은 혁신위 혁신안은 지도부의 책임성과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집행 권한을 강화하자는 취지인데, 그렇다고 해서 현재 지도체제가 책임성과 반응성이 떨어진다는 논거가 충분치 않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혁신위의 원안이 그대로 통과되기보다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절충안이 유력해지는 것이 비대위의 중론이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지난 2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의 입장도 우리가 이해는 하지만 그것을 현실 정치에, 또 우리 당 상황에 맞춰서 적용해야 한다"며 절충안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대해 김태일 혁신위원장은 "단일지도체제를 담은 혁신안을 제출했고 그다음은 혁신위 권한 밖이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 "혁신안이 그대로 관철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혁신위가 전달하고자 하는 강력한 지도체제를 통한 혁신 의지, 취지는 충분히 전달이 됐고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혁신위 관계자는 "비대위가 힘을 실어줘야 혁신위가 일을 하는 데에 힘이 실린다"며 "전대가 연기된다거나 의원들이 나서서 '이렇게는 안 되겠다'고 한다거나 하는 내부의 변화가 있어야지 혁신위 자체적으로 뭘 하긴 힘들다"고 혁신위의 한계를 지적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