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고속열차 두 대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에 사물인터넷(IoT) 등 최첨단 시스템이 적용된다.
코레일(KTX)은 지능형 카메라와 LTE 무선통신을 적용한 '고속열차 연결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25일 오전 경기도 고양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에서 시연회를 가졌다.국내 최초로 개발된 이번 시스템은 KTX-산천 두 개 열차가 하나의 편성(중련)으로 운행할 때 열차 연결과 분리 작업 하는 작업원의 안전 확보와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발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자비에 왕 프랑스 국유철도(SNCF) 차량본부장 등 SNCF 경영진이 코레일의 첨단 시스템을 살펴보기 위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현재 KTX-산천 중련 편성 작업을 할 때 기장이 운전석의 시야 사각지대로 열차 연결 상태를 직접 볼 수 없어 다른 작업자의 신호나 무전의 도움을 받아 열차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있다.열차 연결 지원시스템은 열차의 앞·뒤에 설치한 지능형 카메라와 LTE 무선통신으로 각 카메라를 연결한 운전실의 모니터를 통해 기장이 사각지대 없이 연결 작업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를 위해 기장은 차량 앞쪽에 초단파 거리센서와 LED 램프를 갖춘 지능형 카메라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용 모바일 앱을 개발해 인접 역 관제실(로컬 관제실)과 스마트폰으로도 실시간 열차 연결 작업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코레일은 열차 연결 지원시스템을 실제 차량에 설치해 6개월의 시험 운영을 거쳐 향후 도입되는 신규 차량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홍순만 코레일 사장은 "고속열차 연결 지원시스템은 열차 운영 효율성뿐 아니라 인적 요인에 의한 실수를 예방해 안전을 크게 높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도 모든 분야에 적극적으로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한국철도의 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양=글·사진 곽경근 선임기자 kkkwak@kmib.co.kr
'KTX, 첨단 시스템 견학 왔습니다'
자비에 왕 프랑스 국유철도(SNCF) 차량본부장(사진 우측) 등 SNCF 경영진이 25일 오전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코레일 수도권 차량융합기술단에서 열린 지능형 카메라와 LTE 무선통신을 적용한 '고속열차 연결 지원 시스템' 시연회에 참석해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국내 최초로 개발된 '열차 연결 지원시스템'은 KTX-산천 두개 열차가 하나의 편성(중련)으로 운행할 때 열차 연결과 분리 작업하는 작업원의 안전확보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발됐다.
자비에 왕 프랑스 국유철도(SNCF) 차량본부장(왼쪽)이 지능형 카메라와 LTE 무선통신을 적용한 '고속열차 연결 지원 시스템' 작동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청출어람(靑出於藍)"
2004년 한국에 고속철도 기술을 이전한 프랑스 철도가 한국의 첨단 고속철도 시스템을 살펴보기 위해 코레일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을 방문했다. 자비에 왕 기술본부장 등 프랑스국유철도(SNCF) 기술분야 경영진이 고양시 덕양구 코레일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이들은 코레일 기술진에게 첨단 시스템에 관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질문을 이어갔다.
자비에 왕 프랑스 국유철도(SNCF) 차량본부장(사진 우측)과 티에리 포르 SNCF 엔지니어링센터장이 코레일 기술진의 설명을 귀기울려 듣고 있다.
코레일 기술진이 상태기반유지보수시스템(CBM) 설명 중 고장코드가 관제센터에 즉각 전송(FWTS) 되는 것을 보면서 자비에 왕 프랑스 국유철도(SNCF) 차량본부장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있다.
KTX 동력전달장치(Tripod) 조립공정 시연 모습을 관심있게 살펴보는 프랑스 국유철도(SNCF) 경영진
KTX 차량의 정확한 제동거리 확인을 위한 자동측정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유지보수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KTX-산천 모터감속기 회전작업대 시연
코레일 관계자가 구조물의 사각지대 점검을 위한 내시경 카메라 및 낙석우려지역, 송전선로 등 접근이 어려운 철도시설물을 점검하고 사각지대에 활용 중인 드론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