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연간전기요금이 277억원으로 생산원가의 9.6%를 차지하는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다대가압장과 매리·물금취수장 등 3곳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한다고 20일 밝혔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심야시간에 전력을 저장했다가 최대수요 전력 시 공급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전력시스템으로 전력저장장치, 전력변환장치 및 제반운영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매리·물금취수장, 다대가압장 등 3곳의 연간 전기요금은 107억원으로 상수도 전체 전기요금의 38.6%을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가 큰 에너지저장장치를 올해 설치한다. 다대가압장은 올해 10월 완공하고 매리·물금취수장은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매리취수장 8000kwH와 물금취수장 4000kwH, 다대가압장 300kwH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완료되면 연간 전기요금이 16억5000만원 절감되고, 사업비 63억5000만원 투자해 회수기간이 4년으로 투자대비 경제성이 뛰어나다. 또 에너지저장장치의 축전지 수명이 15년을 감안하면 15년간 누적 전기요금 절감액이 113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저장장치 구축 시 최대수요전력 및 전력사용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해 전기요금 절약 및 상수도시설 에너지자립에 기여하고 경영개선에 효과적이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앞으로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확대를 위해 2018년에는 사업비 37억5000만원을 투자해 화명정수장 2000kwH, 덕천가압장 4500kwH, 본부청사 300kwH 축전지 규모로 3개소에 설치해 연간 전기요금 8억8000만원을 절감할 예정이다. 또한 2019년에는 사업비 34억원 투자로 명장정수장 2000kwH, 사상가압장 4000kwH를 설치해 연간전기요금 6억9000만원을 절감할 계획이다.
김종철 본부장은 “올해 시의 ‘클린에너지 도시 원년’ 선포로 에너지 전력자립도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상수도사업본부는 에너지저장장치가 피크전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하여 실질적으로 전력자립도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며 “현재 상수도 전력자립도 11%를 에너지저장장치가 완료되는 2019년까지 21.6% 증가한 32.6%를 목표로 노력중”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상수도사업본부,에너지저장장치(ESS)로 년16억 전기료 절감
입력 2017-07-20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