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배다리 관통 도로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국제강간 도로’ 무효화 요구,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와 기능중복 논란

입력 2017-07-20 10:07 수정 2017-07-20 10:20
인천 동구 배다리마을 주민들이 20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배다리 관통도로 백지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인천 배다리위원회 주민들이 20일 오전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국제강 간 도로’ 개통 계획 전면 폐기를 위한 주민 선언을 발표했다.

주민들은 “롤러코스트 도로가 되어버려 애초의 산업도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며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교통 분산이 아닌 집중 유발로 지·정체 등 교통난 가중이 불가피하고, 환경 피해를 야기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주민들은 “올 초 개통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로 인해 기능이 중복돼 애초의 명분이 사라졌다”며 사업철회를 요구했다.

배다리 주민들은 “10년 넘게 추진된 신흥동 삼익APT~동국제강 간 도로 공사 및 개설 계획(동국제강~수도국산 송림터널, 송현고가 : 1구간, 송림터널~송림로 : 2구간, 송림로~경인전철, 배다리마을 : 3구간)을 전면 폐기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 도로는 ‘인천시 교통망 계획의 남북축에 속하는 장래 남북고속도로’로 인천항을 이용하는 수출입 물동량의 원활한 남북수송체계를 구축해 구 도심지 도로망 확충에 따른 교통 분산으로 혼잡한 교통난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가로망 확보로 균형적인 지역발전과 인근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을 목표로 2007년부터 추진됐다.

그러나 주민들은 이 도로가 공사 취지와는 다르게 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지 중의 하나인 남쪽의 송도신도시와 북쪽의 청라신도시를 잇는 가장 빠른 직선 길을 내기 위해 이곳을 단지 ‘지나가기’ 위해 계획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주민들은 “이 도로가 건설되면 기존 도로의 단절로 인한 보행권 차단, 각종 소음과 매연, 분진 등으로 주민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 도로가 관통하는 배다리 마을은 인천 근·현대 역사 문화의 모태로 보호되는 것이 맞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동구 배다리 마을 주민들은 물론 지역의 시민 문화 단체와 활동가들이 힘을 모아 주민들의 환경권과 배다리 마을의 역사적 정체성을 지키자는 취지로 도로 반대 운동을 전개해왔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감사원 감사 청구를 통해 3구간 끝인 경인전철 밑으로 통과하기 위해 뚫어놓은 숭인지하차도가 규정높이인 4.5m에 미달하는 3.6m라는 사실을 밝혀져 책임자가 문책 당하는 일이 벌어졌고, 차도는 사용할 수 없게 됐다.

결국 이 도로는 중구 신흥동 유동삼거리에서 경인전철 밑 숭인지하차도 아래로 지나갈 수밖에 없게 된 상황에서 다시 지상으로 올라와 지난 2003년 수도국산 중턱에 이미 뚫어 놓은 송림터널을 지나 송현고가를 이용하여 내려와 동국제강에 이르는 이른바 ‘롤러코스트’가 돼 도로 자체의 기능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지역 단절 및 주민 피해는 더욱 심화될 것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배다리마을 주민들은 이 도로가 정말 필요하다면 신흥동 유동삼거리에서 지하로 내려가 중간에서 다시 올라오지 않고 마지막 지점인 동국제강에서 올라오는 ‘완전지하화’를 요구했었다. 

이 경우 도로도 반듯하고, 지상 구간도 도심 녹지를 비롯한 다양한 활용을 통해 주민들에게 혜택을 되돌려 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문제는 공사비가 추가돼 인천시의 부담이 늘어난다는 점이다.

주민들은 “롤러코스트 도로를 강행할 경우 일상적인 주민 피해와 경제적 낭비를 생각하면 장기적으로 투입 비용 이상의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가올 것”이라며 “유정복 인천시장이 내세우는 ‘인천가치 재창조’의 모범적 사례이자 ‘환경주권’, ‘문화주권’의 실질적인 방법인만큼 시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인천시 도로과나 종합건설본부는 배다리마을 3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방음벽 설치 등 공사를 계속 진행시켜 올해안으로 개통을 준비하고 있다.

주민들은 “인천시는 당장 개통 준비 공사의 중단 및 철수 작업에 나서야 한다”며 “인천시장은 이곳 부지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 주민들과 상의할 수 있는 민·관 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중·동구 주민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민들과 연대해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유정복 인천시장 퇴진 운동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