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청와대 문건 공개 의도적… 호들갑 이해 안돼"

입력 2017-07-18 10:26
사진=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정책위회의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정우택 원내대표가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박근혜정부 문건 1361건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공개한 데 대해 "법률 위반 소지와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기록물 관리법에 저촉될 가능성과 박근혜정권을 겨냥한 의도가 엿보인다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18일 SBS 라디오 '박진호의 시사 전망대'에 출연해 "국정농단 의혹의 진상을 규명한다는 방침에는 이의가 없다"면서도 "그런데 청와대가 (대통령 지정 기록물인지) 구분되지 않았다고 한다면 당연히 전임 청와대 관계자에게 문의 하거나 대통령기록 관리 전문위원회와 사전 협의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갑자기 자료를 공개한 것은 저희가 볼 때 여론몰이 공세를 통해 재판에 개입하려는 청와대의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밖에 볼 수 없다"며 "청와대가 직접 나서서 대통령기록물까지 넘겨주며 노골적으로 재판에 영향을 끼치려 한 전례는 과거에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청와대의 이번 조치는 충분히 법률 위반의 소지가 있고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발견된 문건이 대통령기록물이 아니라는) 판단은 청와대에서 현재 근무하는 공직자가 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청와대가 자의적으로 판단하고 생중계 요청까지 하면서 자료를 공개하는 호들갑을 떨었다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문재인정부가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을 주려고 문건을 전격 공개했다는 주장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처음 (문건을) 발견한 게 7월 3일인데 10여일 지나 발표했다"며 "오랫동안 자기들이 갖고 있었다는 것과 내용을 다 들여다보고 판단했다는 것 자체가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했다.

앞서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정무수석실 내 정무기획비서관실 입구 행정요원 책상 하단의 잠겨진 캐비닛에서 다량의 문건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발견된 1361건의 문건에는 박근혜정부의 청와대 비서실장 선에서 세월호 참사, 한일 위안부 합의, 국정교과서 추진 등과 관련한 위법적 지시사항을 내린 정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