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하투 열기 뜨거워지는 울산

입력 2017-07-16 15:45
올해 울산 노동계의 하투 열기가 뜨겁다.

자동차와 조선업 노조의 투쟁에 이어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일시 중단 결정에 따른 찬반 시위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16일 울산 노동계 등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조는 올해도 투쟁모드로 전환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5일 전체 조합원 5만274명 중 3만3145명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는 17일 중앙노동위원회 조정회의 이후 18일 중앙쟁대위 회의에서 향후 투쟁 일정을 정하고 20일 쟁대위 출범식을 가지며 본격적인 투쟁에 들어간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는 경영위기를 조장하며 무성의한 교섭 태도로 일관해 왔다. 조합원들의 분노가 압도적인 파업 찬성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현대차 노조는 1987년 노조 출범 이후 30년간 2009~2011년을 제외하면 해마다 파업했다. 파업에 따른 피해도 막심하다. 지난해에는 총 24일의 파업으로 14만2000대의 생산 차질이 발생해 3조1000억원의 금전적 손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중공업도 노사 갈등이 봉합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들은 2016년 임단협과 관련해 작년 5월 10일 상견례 이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달부터는 2016년 임단협과 2017년 임금협상을 묶어 통합 교섭 중이다. 특히 오는 10월 노조 집행부 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파업 열기가 더 가열되는 분위기다.

여기에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일시 중단으로 울산은 찬반 단체의 격전지로 부상했다.

한국수력원자력 노조는 15일 신고리원전 건설현장 농성장에서 집회를 열어 대정부 투쟁을 선언했다. 김병기 한수원 노조위원장은 “앞으로도 신고리 5·6호기 공사 최종중단을 막기 위해 노조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한수원 이사회의 공사 일시 중단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사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진행할 방침이다.

원전 건설 중단을 반대해온 서생면 주민들도 조만간 회의를 열어 한수원 이사회 결정에 대한 법적 대응을 논의할 예정이다.

부·울·경 탈핵단체은 울산에서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를 요구하는 각종 집회를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비정규직 사업장의 농성도 장기화되고 있다. 울산과학대학교 청소노동자 투쟁은 만 3년을 넘어섰고, 현대미포조선에서 비정규직 조합원 2명도 노동계 블랙리스트 철폐와 하청업체 노동권 보장을 촉구하며 동구 성내고가다리에서 97일째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