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직장인 오준영씨(가명, 서울 왕십리)는 치주질환을 오래 앓다가 1년 전 임플란트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최근 임플란트를 심은 치아가 흔들리고 통증이 생겨 치과를 찾은 오씨는 재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고 놀랐다. 임플란트를 하고 나면 특별히 걱정할 것이 없다고 믿고 있던 오씨는 망연자실했다.
치아보험이 다양해지고, 건강보험적용 대상도 확대되면서 임플란트수술을 받거나 고려하고 있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한 치아의 기능적인 역할을 자연치아에 가깝게 회복할 수 있는 치료로 브릿지나 틀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씹은 즐거움도 계속 누릴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임플란트를 심는다고 해서 무조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생길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뼈가 녹아 흔들릴 수 있다. 만약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을 경우 조기에 재수술을 해야 하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다. 재수술은 더 까다로운 경우가 많고 시간과 비용이 더 들어갈 수도 있다.
왕십리 서울미래치과 장성기 원장은 “임플란트 치아 주변을 적극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해 임플란트 주변 잇몸에 염증이 생길 수 있고, 염증으로 잇몸뼈가 파괴되고 흡수되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기기 쉬워 진다. 증상을 못 느끼고 방치되다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임플란트를 더 이상 쓸 수 없게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임플란트를 오래 쓰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꼼꼼하게 칫솔질을 해야 한다. 칫솔이 닿지 않는 부분은 치실을 이용해 적극적으로 청결하게 해야 한다. 만약 골다공증이 있거나 뼈이식임플란트를 한 경우는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고, 질기거나 딱딱한 것은 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흡연을 하는 경우 임플란트 수술이 실패할 확률이 몇 배로 높아져 금연하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 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치과 점검이 중요하다. 임플란트 수술 후 1~2년 간은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당뇨 같은 만성질환이 있거나 보다 철저하게 관리하고 싶다면 전문적인 임플란트 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구강정밀검진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장 원장은 “임플란트수술과 관리프로그램이 결합된 톡플란트는 임플란트 수술 전 구강 환경을 건강하게 개선시키고, 수술 후에는 정기적인 검진과 맞춤형 구강관리를 통해 임플란트 치아와 그 주변의 치아까지 건강하게 관리하도록 돕는다”며 “유전자검사, 완충능검사, 타액검사, 위상차현미경 세균검사 등 정밀한 검사와 함께 와타나베 전문가 칫솔질 등으로 구강환경을 지속 관리하여 임플란트를 건강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용소프트웨어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고 설명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