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 연수팀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간 경험한 치아 외상 환자 6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스포츠 활동 중 손상(413명)이 교통사고 등 기타 원인에 의한 것(280명)보다 1.5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폭력, 낙상, 교통 사고 등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던 과거와 달리 스포츠레저 인구의 증가와 다불어 야외활동을 하다 얼굴을 다치는 경우가 많고 치아 손상도 잦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부상 상태 및 정도를 구체적으로 보면 ‘교합변화 및 저작장애’와 ‘턱관절 탈구/ 개구장애’가 각각 21%, 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안면 열조직 열상’ 16%, ‘치아파절/치아탈구’ 15%, ‘치조골 골절’ 14%, ‘턱뼈/턱관절 곤절’ 13% 등의 순서를 보였다.
연령대로는 스포츠 치아 손상의 경우 평균 26세로 청년층에 많은 것으로 조사돼 교통사고 등에 의한 치아손상 연령대가 평균 39세의 중년층에 몰린 것과 대조를 이뤘다.
이 교수는 “20대 중반에서 스포츠 손상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스포츠 활동이 가장 왕성할 때이기도 하지만 젊음을 과신해 보호 장치 없이 과격한 운동을 즐기다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운동 중 반드시 보호 장치를 착용해야 하며 만약 사고가 발생했다면 초기부터 신속한 응급 처치 및 미용까지 고려한 고난도 시술을 적시에 시행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찾아야 외상으로부터의 심한 기능적, 심리적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