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연 1.25%인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낮춘 이후 13개월째 동결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는 여전히 부진한 국내 경기회복 신호가 꼽힌다.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경제 심리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금리를 조절할 만큼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다. 1300조원이 넘어선 가계부채가 소비지표를 억누르는 현실도 금리를 올리기엔 부담으로 다가온다.
당분간 완화기조 유지를 택한 한은의 입장은 계속 딜레마로 몰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또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축소 시작을 예고해 한미간 금리역전이 시작된 상황이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했고, 일본중앙은행(BOJ)도 내년부터 긴축으로 무게중심을 옮길 것으로 예상된다.
유례없던 선진국 중앙은행의 돈풀기를 뜻하는 양적완화가 이례적이었다면, 정반대로 돈줄죄기로 일시에 옮겨가는 모습도 전례없는 상황이다. 우리와 같은 신흥국은 당연히 급속한 자본유출 우려에 노출되게 된다. 한은이 연말까지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수 있을지 회의론이 점차 고개를 들고 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