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11일 “조직쇄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국정원 조직개편안을 마련 중”이라며 “기본 방향은 해외(1차장)·북한(2차장)·방첩(3차장) 차장 편제로 바꾸고, 국내정보 관련 부서를 전면 개편하면서 차장 명칭을 삭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서훈 국정원장은 이같은 조직개편안 추진 경과를 보고했다고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그동안 대북·해외정보를 담당하는 1차장, 대공수사·대테러 등 국내정보를 담당하는 2차장, 사이버·과학 파트를 맡은 3차장 체제로 운영돼 왔다. 이번 조직개편이 마무리될 경우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라 국내정보 수집 파트가 전면 개편되고 국내정보 차장이란 명칭은 사라진다.
김 의원은 “국정원이 해외·북한·방첩·대테러 등 국가안보와 관련된 고유 업무를 비롯해 미래 전략, 과학기술 등 핵심정보 역량을 강화해 재도약의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또 적폐청산 TF를 통해 국정원 댓글 사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사건,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박원순 서울시장 관련 문건, 추모 전 국정원 국장의 청와대 비선보고 의혹 등 13건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국회에 보고했다. 국정원의 국내정치 개입 논란이 불거졌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국정원은 지난달 19일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민간전문가와 전·현직 국정원 직원으로 구성된 위원회 산하에는 조직쇄신 TF와 적폐청산 TF를 설치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