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이명박정부 당시 소셜미디어의 선거 영향력을 분석하고 2012년 총선·대선을 대비하자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해 청와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는 10일 “국가정보원이 2011년 10·26 재보궐 선거 직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선거 영향력’을 분석하고 ‘내년(2012년) 총선·대선(19대 국회의원 선거·18대 대통령 선거)을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역량을 총동원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장악해야 한다’는 취지의 보고서를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세계일보가 입수해 공개한 보고서 문건에는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실이 여론 조작과 대선 개입에 연루됐음을 시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간 검찰과 법원은 2012년 대선 당시 국정원이 단독으로 SNS 댓글 조작을 벌였다고 판단해 왔다.
세계일보에 따르면 국정원이 2011년 11월 작성한 ‘SNS 선거 영향력 진단 및 고려사항’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실에 보고됐고 김효재 정무수석이 이를 직접 검토했다.
A4 용지 5장 분량의 문건에는 치밀한 분석이 담겨 있었다. “SNS가 ‘후보 선택 판단 창구’로서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데, 여당의 ‘절대 불리’ 여건이 지속되고 있다. 좌파 절대 우위인 트위터의 빈틈을 파고들어 SNS 인프라를 구축하고, 좌파 점유율이 양호한 페이스북을 집중 공략해 여론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문건에는 여론을 점유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 있었다. “유명 연예인·스포츠 스타·유력 보수권 인사 등으로 보수 진영 의견을 측면지원할 수 있는 멘토단을 구성, 각종 논쟁 발생 시 여론 왜곡을 방어해야 한다” “뉴스OOO·OO신문·OOO미디어협회 등 온라인 보수진영 시스템 연동 및 역량 결집을 통해 SNS 허브로 기능할 수 있도록 측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등의 내용이었다.
세계일보는 “국정원 어느 조직이 이 보고서를 작성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보고서 작성을 지시한 ‘윗선’의 정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인지 여부, 이 대통령과 집권 여당 지도부에 보고됐는지 등이 추가로 규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