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혁명 기록물이 우리나라가 내년 3월 신청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후보로 결정됐다.
4·19 선교회(회장 박해용)는 문화재청이 최근 열린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지난 4~5월 공모를 통해 접수된 기록물 10건을 심사해 4·19 혁명 기록물 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2건을 세계기록유산 신청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4·19혁명 기록물은 1960년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4·19혁명의 원인과 전개과정, 혁명직후의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일체의 기록유산을 지칭한다.
국가기관, 국회 정당이 생산한 자료, 언론 보도자료, 개인 기록, 수습 조사서. 각종 사진과 영상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이 기록물은 4·19 학생 등이 추구한 정의와 평등의 가치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 질서를 해체한 민주주의 사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영진(전 농림부장관) 4·19 선교회 상임고문은 "제3세계 국가 중 가장 모범적인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기록한 자료로. 관련 공문서 그리고 혁명의 주체가 된 민간의 기록물 등을 포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상임고문은 "4·19혁명을 통해 피 뿌려 헌신하고 자신을 바친 영령들의 숭고한 의식을 본받아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번영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년 일어난 혁명 당시 조선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의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 다양한 주체가 생산한 기록 175건, 1만2000여면을 말한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현재 기념재단,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고려대 도서관, 천도교 중앙총부, 국사편찬위원회 등 모두 12곳 기관에 소장돼 있다.
문화재청이 내년 3월 유네스코에 신청하면 유네스코는 2019년 상반기에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심사를 거쳐 2019년 하반기에 최종 결정한다.
세계기록유산은 2년에 1번씩 국가당 2건의 기록유산을 등재신청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기록유산 13건,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 1건을 보유하고 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