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원내대표 회동 빈손…야3당 “추경 말고 ‘문준용 특검’ 하자”

입력 2017-07-10 15:44
정세균(가운데) 국회의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여야 4당 원내대표 회동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 정 의장,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 사진 뉴시스

국회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국회의장-여야 4당 원내대표 간 회동은 성과 없이 끝났다. 오히려 야3당이 일제히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씨의 ‘특혜채용 의혹’에 대한 특검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여야 대치는 한층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 의장과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자유한국당 정우택, 국민의당 김동철,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10일 오전 국회에서 30분가량 회동을 가졌다. 이들은 추가경정예산안 및 정부조직법 개편안 심사,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 등을 논의했다.

하지만 여야 의견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여당은 추경안과 정부조직법 개편안 심사를 촉구했지만 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추경안 심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야3당은 송 후보자와 조 후보자에 대한 임명 철회도 거듭 촉구했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당이 무기력하다”며 “청와대 입장만 대변하고 관철하려 하고 국회와 야당의 뜻을 전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요구하는 특검과 송영무·조대엽 후보자 임명 철회 등 둘 중에 하나라도 들고 와야 하는데 두 개 다 안 들고 왔다”고 지적했다.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야3당은 추경안 심사를 위한 예결특위에 참여하기 어려운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 “ 문재인 대통령이 만약 내일 (송영무·조대엽) 두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면 7월 국회는 어렵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도 같은 입장”이라고 말했다.

앞서 회동 공개발언에서도 야당의 정부여당 성토가 한 차례 벌어졌다. 특히 최근 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는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는 “우리당에서 ‘추’자도 꺼내지 말라고 하니 그냥 ‘미애’ 대표라고 하겠다”며 “미애 대표가 사실상 오늘도 검찰에 지침을 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여당 대표가 국민의당을 죽이려고 하는 상태에서 어떠한 국회 일정에도 협조할 수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협치라는 용어를 썼지만 실제로 대통령이 언제 진정한 협치를 보여준 적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날 오후 국민의당은 문준용씨 ‘특혜채용 의혹’과 자당의 ‘제보조작 사건’에 대해 동시 특검을 공식제안하기도 했다. 앞서 한국당과 바른정당도 이와 관련해 일괄 특검을 주장한 바 있어 특검 도입을 두고 여야 대치가 격화하는 모양새다.

김 원내대표는 “한때 우리는 특검 주장으로 인해 증거조작에 대한 우리 당의 진정어린 사과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해 언급을 자제했지만, 이제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에서도 특검을 얘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준용 특혜채용 의혹, 그리고 이유미의 증거조작 두 사건은 특검에 맡기는 것이 옳다”며 “그렇게 된다면 국민의당은 특검에 대해 추천권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야3당은 국회의장-원내대표 간 회동에서도 문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과 관련한 특검을 요구했지만, 여당은 이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