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전 국민의당 대표는 10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과 이준서 전 최고위원의 '36초 통화'를 '조작 파문 최종 컨펌'으로 규정한 것과 관련해 "추 대표는 검찰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듯 이번에도 이 전 최고위원을 구속하라고 사법부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추 대표가) 국민의당과 저 박지원은 죽어도 좋다는 허위사실을 미필적 고의로 유포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전 대표는 "36초간의 통화도 저는 현재까지도 기억이 없지만 진상조사단 발표 이후 이 전 최고위원의 통화기록 조회에서 확인됐다"며 "이 전 최고위원도 당 진상조사위에 '당시 통화에서 대표께서 무슨 일이냐고 물으셨고 바이버로 보내드린 게 있는데 확인 좀 부탁드린다고 말씀드리니 바로 알았다고 하며 다른 얘기 없이 통화를 마쳤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전부"라며 "물론 저는 그 (바이버로 보낸) 메시지도 비서관이 소지한 핸드폰으로 왔기에 보지도, 보고 받지도 못했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지금 이 때에 사실을 왜곡하는 일은 집권여당 대표가 할 일이 아니다. 이 전 최고위원의 영장실질심사가 내일 예정됐다면 기다려야 한다"며 "거듭 추 대표의 이성 회복을 촉구하며 담당 검사 역할은 담당 검사에게 맡기고 집권여당 대표의 역할만 하길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참으로 다행인 것은 추 대표가 일찍 사법부를 떠난 것"이라며 "만약 사법부에 남았다면 이런 편향된 시각으로 집권여당 망가뜨리듯 사법부까지 어떻게 되었을까 끔찍하다"고 비꼬았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