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핵·미사일 국면을 “6·25 전쟁 이후 최대 위기”로 규정하며 국제사회에 공조를 촉구했다. 하지만 동시에 인도적 대북 지원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히며 강·온전략을 구체화했다.
문 대통령은 8일(이하 현지시각) 오후 독일 함부르크 메세 컨벤션홀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6·25 전쟁 이후 최고의 위기이고, 위험한 상황”이라며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면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도 사정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일·중·러 등 전통적 관계국 외의 국가도 대북 공조에 적극 협조해주길 당부한 것이다.
트뤼도 총리는 “북한에 대한 여러 제재에 동참하기 위해 우방국들과 노력하겠다”며 “캐나다 국적자인 임 목사(임현수 목사)가 아직도 북한에 억류돼 있는데, 건강이 악화되고 있는 것 같아 걱정”이라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하지만 대북 인도적 지원의 당위성도 피력했다. 국제적 대북 제재를 강화하는 가운데 남북관계를 복원시켜 우리 정부 주도의 북한 비핵화를 이끌려는 구상으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세션4 발언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인도적 지원은 정치 상황과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며 “한국은 북한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전체 인구의 41%, 특히 5세 미만 아동의 28%가 영양실조 상태”라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틀 안에서 체계적이고 엄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지원이 이뤄지도록 국제기구 및 민간 단체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8일 폐막된 G20 정상회의에서는 북한 문제가 공동선언문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개막 사흘 전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물리적 시간이 부족했던 게 가장 큰 이유다. 다만 의장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첫날 테러리즘을 주제로 한 비공개 토론(리트리트) 이후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공론화했다.
메르켈 총리는 “북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를 희망한다. 이에 대해 정상 간 폭넓은 합의가 있었다”고 발표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G20 정상회의 결산 브리핑에서 “북한 미사일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대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다자 정상외교 데뷔전을 마친 문 대통령은 10일(한국시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한다.
함부르크=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