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와 분당차병원 산부인과 이미화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18세 여아 3409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초경연령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조사결과 2010/2011년 우리나라 여아의 평균 초경연령은 12.4세였다.(2010/2011년 자료에 의하면, 10~11세에 10.3%, 11~12세에 34.6% 12~13세에 62.2%, 13~14세에 92.2%가 초경을 경험하였다.)
어머니가 조기 초경인 경우 딸도 조기 초경일 위험도가 1.48배 증가하였다. 본인이 과체중인 경우 조기초경을 할 위험도가 1.24배 증가하였고, 본인이 저체중인 경우 조기초경의 위험도는 0.27배로 낮아졌다.
그러나 부모의 소득수준이나 부모의 교육수준과 조기 초경의 위험도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화 교수는 “과체중이나 비만일 경우 체지방에서 만들어진 인자 및 효소들이 초경을 앞당길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하며, 그렇다고 무조건 다이어트를 해서 심하게 체중을 감량하는 경우에는 여성호르몬의 정상적인 분비가 억제되어서 사춘기와 초경의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늦어질 수 있으므로 키에 알맞은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미정 교수는 “전체적으로 과거에 비해 초경연령이 앞당겨 지고 있고, 특히 딸아이가 체지방량이 많은 비만이면서 어머니가 초경이 빠른 경우 아이의 초경이 빠를 수 있는데, 몸과 마음이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가 초경을 경험할 때 당황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조사결과는 국제 학술지 ‘리프로덕티브 헬쓰’(Reproductive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