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 칼륨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고칼륨혈증이 생길 수 있고, 고칼륨혈증은 근육쇠약과 부정맥, 과도한 심장 흥분으로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교수 연구팀이 경미한 칼륨수치의 증가가 부정맥을 비롯한 급성 신손상 발병 위험 및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3년 한 해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신장기능지표 및 칼륨 검사를 시행한 입원환자 1만7777명을 대상으로 혈중 칼륨수치에 따라 급성 신손상과 부정맥, 그리고 환자의 사망률에 미치는 위험성을 분석했다.
보통 우리 몸속 칼륨 수치의 정상치는 혈청 칼륨 수치 3.5~5.5mmol/L를 기준으로 한다. 연구팀은 3.6-4.0mmol/L를 기준으로 칼륨 수치가 높아질수록 질환의 발병 위험성과 사망률의 위험성이 어떻게 증가하는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고칼륨혈증(>5.5mmol/L)인 경우에는 급성 신손상 발병 위험이 3.6배 증가했고, 부정맥 발병 위험 역시 4.8배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입원 30일 내 사망률이 4배 높아졌으며, 1년 장기 사망률 역시 2.1배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특히 급성 신손상이 발병할 위험은 칼륨수치가 4.1mmol/L이상에서부터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세중 교수는 “고칼륨혈증은 입원환자의 급성 신손상, 부정맥뿐만 아니라 단기 및 장기 사망률을 2~4배 이상 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더욱이 칼륨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더라도, 4.1mmol/L를 넘으면서 부터는 급성 신손상 발병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심부전, 당뇨병, 만성콩팥병, 빈혈 등과 같은 급성 신손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라면 칼륨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고칼륨혈증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었지만, 칼륨 수치가 어느 수준까지 안전한지,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합병증이나 사망률의 위험이 증가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번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합병증과 사망 위험을 낮추기 위해 보다 면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실렸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