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되면서 집중호우에 동반하는 낙뢰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 낙뢰(벼락)는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정전기 방전이 거대한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규모가 매우 크다.
낙뢰는 빛의 속도보다 빠르며, 전압은 1억 볼트로 집에서 쓰는 전기의 50만 배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낙뢰를 맞게 되면 약 80%는 즉사한다.
기상청 기상레이더센터가 밝힌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낙뢰 발생은 총 62만9411건으로 연평균 12만5882건이나 됐다. 국민안전처는 이 기간에 총 354건의 낙뢰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특히 장마철인 7~8월에는 대기가 불안정해 낙뢰가 집중된다. 7~8월 낙뢰 피해 건수는 전체의 56%(197건)을 차지한다.
이에 한국전기연구원은 5일 여름철 낙뢰 사고에 대비해 낙뢰 위험 예방 행동요령을 소개했다.
낙뢰가 예상되거나 발생할 경우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야외활동 중인 경우 뾰족한 물체나 홀로 서 있는 나무 등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 부득이하게 낙뢰 중 이동해야 한다면, 제방이나 목초지 같은 지역을 벗어나 한 쪽 발만 땅에 접촉하면서 짧은 보폭으로 뛰어 가야 한다. 우산, 골프채 등 금속성이거나 길고 뾰족해 낙뢰를 유발할 수 있는 물품은 사용하지 말고 접거나 눕혀 놔야 한다.
진채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