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은 암병원 양성자치료센터(센터장 표홍렬)가 5일, 가동 1년만에 치료환자수 500명, 연간 치료횟수 9000건을 각각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오픈한 다른 국가의 양성자치료시설의 두 배 이상에 달하는 치료 실적이다.
삼성서울병원은 1세대 방식에 비해 훨씬 진보한 ‘차세대 양성자 치료 기법’으로 불리는 스캐닝 양성자 치료법 비중이 전체 치료의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문을 연 미국 메이요클리닉을 제외하고는 세계적으로 유사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특별하다.
삼성서울병원은 또한 특정 암에 치우침 없이 여러 암종에서 골고루 양성자치료를 적용, 주목을 받고 있다. 치료 암 중에는 특히 간암, 두경부암, 뇌종양 (뇌종양 대부분은 소아환자),폐암의 치료 건수가 많은 것도 유별나다.
또한 이미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가 같은 부위에 다시 방사선치료를 받아야 하는 방사선 재치료의 경우가 66건에 이른다. 동일부위 두번째 방사선 치료는 대부분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기존의 관념을 깬 것이다
전체 양성자 치료 환자 중 소아암의 환자 비중은 약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장발육기에 있는 소아에게 기존 방사선치료 대비 부작용이 적은 양성자치료의 이점이어필한 것으로 보인다.
암종별로는 간암 치료가 가장 많았다. 양성자치료가 시작된 이후 양성자치료센터를 찾은환자 중 3개월 추적관찰을 한 78명의 간세포암 환자 중 70%에서 종양이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지난 1년동안 양성자치료 부위에서 종양이 다시 커진 경우는 10%에 불과해 90% 이상의 국소종양 제어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자치료는 주변 정상 조직에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종양 부위만 선택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기존 엑스선 방사선치료를 했을 때 간기능 저하가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치료 한 달 후에도 간 기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대부분B, C형 간염 또는 간경변을 동반하고 있는 간암 환자가 기존의 방사선치료를 받을 때 치료 후의 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방사선량을 줄이거나, 어쩔 수 없이 어느 정도 간 기능 손상과 이에 따른 부작용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지만, 양성자치료는 이런 부분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았다.
폐암의 경우에도 기존 방사선 치료 대비 폐 보호 효과가 두 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스캐닝치료에서 그 우수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폐암은 종양과 주변 림프절조직을 동시에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난이도가 높아 1세대 양성자치료법으로도 폐의 보호가 쉽지 않았는데, 스캐닝 치료법의 우수성이 본격적으로 발휘되는 암종으로 판단된다.
또한 심장 주변에 위치한 폐암 혹은 식도암의 경우 기존 방사선치료로는 심장의 보호가 거의 불가능하였는데, 양성자치료는 심장 앞에서 양성자빔을 멈춰 세워 거의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수년 안에 스캐닝 양성자 치료를 이용한 폐암의 치료 효과를 학계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양성자치료센터 박희철 교수는 “양성자치료를 도입하고 난 후, 나쁜 간기능 때문에 기존 엑스선으로는 방사선치료를 적용할 엄두를 내기 어려웠던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방사선치료를 할 수 있게된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 의료진들도 놀라고 고무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아직 간암의 양성자 치료 기간이 짧아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현재 표준 치료법인 수술이나 고주파소작술을 이용하기 어려운 간암 환자분들에게 양성자치료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 많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