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해 교육현장에 혼란을 가져온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이 부총리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교과서 정책을 언급하며 “사회적 합의를 구하지 못한 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면서 사실상 사과했다.
그러면서도 “이념적으로 편향되지 않고 올바른 역사관과 대한민국 시민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역사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 고심을 거듭했다”고 밝혔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한 ‘방식’에는 잘못을 인정했지만 국정 역사교과서의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읽힌다.
박근혜정부는 2015년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기로 결정하고 편찬 작업을 진행했다. 교육현장과 학계의 반발이 계속됐고, 지난해 12월 9일에는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 교육부는 국정화 동력이 사라진 상황에서 지난 2월 국·검정 혼용 체제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고 들어선 문재인정부는 교과서 발행체제를 다시 손봤다. 문 대통령은 당선 이후인 5월 12일 교육부에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지하고 국·검정 혼용체제를 검정체제로 전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부총리는 이임식에서 검정교과서 발행체제가 잘 정착되길 바란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그는 “새로 마련되는 검정시스템을 통해 국민적 지지를 받는 올바른 역사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