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4일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 조작 사건 수사를 마무리 한 뒤 준용씨 한국고용정보원 취업 특혜 여부도 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월 11일 준용씨의 취업 특혜 의혹을 제기한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의원을 허위 사실 공표죄로 검찰에 고발했다.
서울남부지검 관계자는 이날 "제보 조작 사건과 준용씨 취업특혜 의혹 건 둘 다 고소, 고발 사건이지만 별개의 사건"이라며 "현재 조작 사건에 구속자(이유미)가 있기 때문에 이 사건부터 마무리 짓고, 특혜 채용 여부는 그 후에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오후 3시 이준서 국민의당 전 최고위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한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가 한번에 끝나는 경우는 드물다. 특정인에 대한 혐의 유무를 사실 규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재소환했다"며 "현재 이 전 최고위원의 공모혐의 입증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전 최고위원의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 영장 청구 검토를 하고 있지 않다"며 답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당원 이유미씨에게 조작 지시를 한 적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나 검찰은 현재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을 제보 조작 공범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날도 이 전 최고위원을 상대로 이씨로부터 해당 제보를 넘겨받은 경위와 이씨의 범행을 알면서도 묵인했거나 직접 조작을 지시했는지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이날 오전 조성은(29) 전 비대위원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대선 당시 선대위 상황실 부실장을 맡은 조 전 위원은 이씨로부터 지난달 24일 처음 조작 사실을 들은 인물이다. 이 전 위원은 청사에 들어가기 전 취재진에게 "당시 이씨가 첫 통화에서 억울함을 토로하듯이 얘기했다"면서 "이씨가 모호하게 말했고, 이준서씨가 적극적으로 조작했는지, 자료 (조작을) 요구했는지 제가 정확하게 질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 과정에서 이씨가 검찰 소환 전 조 전 위원을 만난 적이 있다고 얘기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려고 불렀다"고 설명했다.
이유미씨도 이날 오후 2시부터 검찰 조사를 받는다. 검찰은 이씨를 긴급체포한 지난달 26일부터 매일 조사하는 등 고강도 수사를 계속해왔다. 이씨는 검찰조사에서 제보 조작을 지시한 '윗선'으로 이 전 최고위원을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최고위원과 이씨 간의 대질심문 여부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서로 진술이 엇가려도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대질심문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오늘 대질심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검찰에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된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이었던 김성호 전 의원과 부단장이었던 김인원 변호사도 이날 새벽까지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검찰은 이들도 추가 조사의 필요성이 있다며 조만간 재소환하겠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김 전 수석부단장과 김 전 부단장도 추가 조사의 필요성 있다. 재소환 날짜를 조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