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지난 28일, 부산 벡스코(BEXCO)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기술 심포지엄’ 공식 후원사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가 주최한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기술 심포지엄’은 미생물학, 생명공학 등 국내·외 관련 분야 교수들과 전문가들이 최신 학술정보와 공동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교류의 장이다. 이 날 행사장에는 학회 관계자 및 LG전자 연구원, 관련학과 재학생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진화된 냉동 및 냉장 기술’을 대주제로 한 이번 심포지엄은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 △김치유산균과 김치 맛의 상관관계(대상주식회사 연구기술본부 신선연구실 신선연구 1팀 류병희 팀장) △김치유산균 최적 증식 저장 조건(조선대 장해춘 교수) △김치유산균의 건강기능성(영남대 박용하 교수), △Deep Freezing Technology (아일랜드 국립대 다웬 순 교수), △초저온냉동의 식품학적 효과(건국대 최미정 교수) 순으로 발표됐다.
두 번째 세션의 연사로 나선 김치유산균 최고 전문가인 장해춘 교수는 온도와 김치유산균의 성장 관계를 밝히고, 온도 조절을 통해 미생물 발효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전했다. 그 예로 LG 디오스 김치톡톡 ‘유산균 김치+’의 류코노스톡(Leuconostoc) 생성 알고리즘을 언급했다. ‘유산균 김치+’ 기능은 김치의 보관 온도를 6.5℃로 유지시켜줘 일반 보관 모드와 비교해 시원한 김치맛과 탄산감을 주는 류코노스톡이 최대 12배가량 더 잘 자라 김치 맛을 배가시켜 준다.
이와 함께 마지막 연사인 다웬 순(Da-wen Sun) 교수와 최미정 교수는 ‘초저온냉동의 식품학적 효과’를 주제로 고기류, 생선류, 채소 및 과일류, 조리된 식품류 등 4가지 식품류 7종을 선정, 일반 냉장고의 냉동고 온도인 -18℃와 -50℃, -60℃에서 6개월간 저장하면서 식품군의 품질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식품을 초기에 급속 냉동하는 초저온 냉동 기술은 식품에 형성되는 얼음 결정체를 작게 만들어, 해동 시 수분 이탈도 최소화시키고 식품 내 철분의 산화를 막는 등 재료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켰다.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 LG전자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소개된 연구 사례들은 자사의 김치냉장고와 초저온냉동고의 탑재된 기술을 인정받는 자리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우수한 연구원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진화된 냉장 · 냉동 기술을 탑재하는 등 최고의 냉장고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